|
냉이란 여성의 질을 통해 나오는 분비물로 생식기인 자궁과 질의 점막에서 주로 나옵니다.
정상 분비물은 생식기를 항상 촉촉이 유지를 시키키며 외부로 유출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배란기 같은 특정시기에는 분비물의 양이 평소보다 많아지기도 합니다. 정상 질내에는 면역을 담당하는 균들이 있어서 외부 감염에 대해 방어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냉은 골반 안쪽의 난관과 자궁내막, 자궁경부, 질 분비물이 섞여 나오는데 자궁과 질을 항상 산성 상태로 유지 하여 균의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냉 덕분에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냉은 주로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점차 늘기 시작하며 폐경기가 다가오면 줄어들게 됩니다. 냉의 양은 갑자기 늘게 되면 질염이나 자궁염, 자궁내막염, 골반염 등 다양한 질환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냉의 경우 맑은 콧물처럼 나타나며 생리 전후에는 약간의 혈이 섞여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잡균의 감염이나 곰팡이 균에 의한 캔디다 질염의 경우에는 냉의 상태가 달라지게 됩니다. 냉의 색이 누렇거나 녹색의 농 형태로 나오게 되면 질염이나 자궁경부염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캔다다 질염일때에는 냉이 우유빛이며 비지처럼 가루형태로 나오기도 합니다.
요즘은 피임을 위해서 자궁내 장치를 시술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 냉의 양이 늘고 염증성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간혹 볼 수 있습니다. 염증으로 진행되면 비린 냄새가 나는데 특히 생선 비린내 처럼 악취가 날 수 있습니다.
잡균들의 감염에 의한 질염은 생선 비린내등이 주로 나게 되며 생리대 등을 청결히 하지 않을 경우 이물질에 의해 위생상태가 좋지 않아 세균이 자라 감염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세균성 질염의 경우 치료를 받지 않으면 자궁이나 골반에 까지 염증이 확대될 수가 있습니다. 질염의 경우 임신이 잘 되지 않는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유산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그래서 임신의 계획이 있는 분이라면 반드시 질염을 치료를 우선 해주시는 것이 바랍직합니다. |